2019년 3월 14일 목요일

2015 개정교육과정의 올바른 이해

0 comments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인 2018년 고등학교 입학생부터 적용되었습니다. 적용 첫해에는 개정된 교육과정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험범위와 평가방법, 고등학교 교과 성적의 평가 방법 등이 다소 어색한 모습으로 시작되었지만 2019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에게는 이러한 모습이 조금은 해소된 느낌이 듭니다.

이번 교육과정은 다변하고 고도화되는 사회의 변화에 맞는 인재 양성, 과정의 흥미도 향상 등 여러 가지 요구를 배경으로 개정이 되었습니다. 학생의 입장에서는 개정의 배경과 방향보다 주목할 부분은 고등학생이 이수하는 교육과정의 과목 선택 폭이 확대되었다는 것입니다. 이전 교육과정에서도 학생의 선택권이 존재하였지만 선택의 범위가 탐구 교과영역, 생활·교양 교과영역 등의 작은 범위에서 전체 교과로 확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기초교과영역에 해당하는 국어, 수학, 영어 교과를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는 부분이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생들은 교과 및 과목의 구성, 평가방법 등 개정교육과정을 이해하고 본인의 진로와 진학 목표에 따라 교육과정(과목)을 선택하고 이수하는 것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먼저 고등학교의 편제에 대하여 살펴보겠습니다. 학교 자율과정 운영, 학년 또는 학기 간 비균등 이수 등 예외적인 부분이 있지만 일반적인 고등학교의 수업은 34시간으로 교과 수업이 30시간, 창의적 체험활동이 4시간 운영됩니다. 학생들의 과목 선택이 이뤄지는 것은 30시간에 해당하는 교과 영역입니다. 교과는 보통교과와 전문교과로 나눠집니다. 전문교과는 특수목적고와 특성화고 학생에게 적합한 과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고(자공고, 자사고 포함)에서도 진로교과 등에 전문교과를 개설하고 이수할 수 있습니다.






보통교과는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구분되며 선택과목은 일반선택과 진로선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공통과목은 모든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의 기초 소양과 기본 학력 보장을 목적으로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으로 신설되어 1학년에서 이수하게 됩니다. 선택과목은 고등학교 단계에서 필요한 각 교과별 학문의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과목인 일반선택과 교과 융합학습, 진로 안내학습, 교과별 심화학습, 실생활 체험학습 등이 가능한 과목인 진로 선택으로 나눠집니다. 선택과목의 이수 시기는 보편적으로 공통과목을 1학년에서 이수한 후인 2~3학년에서 선택하고 이수하게 됩니다.




전문교과는 특수목적고(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제외)의 전공교과에 해당하는 전문교과Ⅰ과 특성화고(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포함)의 전공교과에 해당하는 전문교과Ⅱ로 구분되어집니다. 필요와 수요에 의하여 일반 고등학교의 진로교과 등에 개설과 이수가 가능합니다. 다만, 과목의 내용적 구성 특성과 미리 배워야 하는 과목 조건(선 이수과목)에 따라 개설과 이수가 가능한 점이 있음을 유의하셔야 합니다.




학생들은 과목을 선택하기 전 알고 있어야 할 몇 가지 유의 사항이 있습니다. 


첫 번째, 본인의 진로와 진학 목표에 맞는 과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과목의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과목에서 배우는 내용이 무엇인지, 연결해서 배워야 하는 과목이 있는지, 이수의 순서가 정해진 과목인지 등을 알고 선택해야 합니다. 


두 번째, 현재 고등학교의 졸업 조건은 필수 이수단위의 이수와 수업 일수 충족입니다. 고교 유형에 따라서 교과별로 최소 이수단위를 확인하고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공통과학과 과학탐구실험만 이수하면 필수 이수단위를 충족할 수 없습니다. 또한, 체육의 경우는 모든 학기에 이수를 해야 하며 10시간(단위)이상을 이수해야 합니다. 일반고(자율고 포함)와 특수목적고(산업수요 맞춤형고 제외)의 단위 배당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번째, 선택과목의 평가방법을 참고해야 합니다. 평가를 염두에 두고 선택하기 보다는 배우고자 하는 과목을 배우는 것이 선의적 선택이지만 이수의 끝에 진학의 목적을 두고 있는 경우에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성적을 처리하는 방법은 석차등급 처리, 성취평가제 처리, 이수처리, 방점(“․”)처리 등을 복수로 처리합니다. 석차등급은 모집단을 다음과 같이 일정비율의 기준으로 등급을 부여합니다.




성취평가제의 경우는 5단계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과목의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평정을 합니다. 보통 교과 공통 과목의 과학탐구 실험, 보통 교과 체육․예술 교과(군)의 일반 선택 과목, 보통 교과 진로 선택 과목(진로 선택으로 편성된 전문 교과 포함), 전문 교과Ⅰ 과학계열 교과(군)의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전문 교과Ⅰ 국제계열 교과(군)의 사회 탐구 방법, 사회과제 연구 등의 과목의 성취도는 성취율(원점수) 원점수에 따라 3단계 평정을 하게 됩니다. 그 중 보통 교과 진로 선택 과목은 성취평가의 결과가 대입에 활용이 되어 이전 교육과정(2015개정 교육과정 2018입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목 선택의 유연함이 더해진 점을 참고하여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되는 평가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9학년도 입학생을 기준으로 교과별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네 번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응시과목에 대한 고려도 필요합니다. 2020학년도 입시를 기준으로 보면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정시모집의 수능위주 전형 외에도 수시모집에서도 수능최저학력기준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본인의 진학 목표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다른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여 과목을 선택해야 합니다. 학년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시험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섯 번째, 대학에 따라 과목에 대한 이수 정도를 권장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희망하는 대학의 권장사항, 가이드북의 내용 등을 참고해야 합니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최소 이수조건을 충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과목의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관심과 희망사항은 매우 다양하므로 교육과정의 모습 또한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게 됩니다.




교육과정은 학교의 환경, 구성원의 특성에 따라 전면 개방형, 일부개방형 등 과목 선택의 범위가 다양합니다. 따라서, 학교에 따라 학생의 희망과목과 개설(이수)과목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희망하는 학생이 2명 등 매우 소수로 개설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보완하기 위하여 17개 시·도 교육청에서는 거점형, 연합형, 온라인형 등 명칭은 다르지만 학교 밖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재적학교에서 없는 과정(과목)은 학교 밖 교육과정을 통하여 이수가 가능하므로 학교와 교육청에서 안내되는 내용을 참고하길 바랍니다. 개별 학교의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에게 맞는 효율적인 선택을 위하여 학교의 담임 선생님, 교과 선생님, 진로진학 선생님과 상담을 하여 자신에게 맞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을 권합니다. 상담 전후 또는 개인적인 자료 수집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자료와 사이트도 있습니다. 교육부 등 기관에서 발간한 과목가이드북, 학과 소개자료 등,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사이트(http://adiga.kr), 각 대학 입학관련부서의 가이드북 자료, 학과안내서 등 온라인 자료 등이 있어 과목 선택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에게 맞는 교육과정을 선택하고 필요한 지식과 내용을 배워야 할 것을 배워서 졸업을 하고 원하는 진로로 나아가는 것에 있습니다. 학생들은 교육과정(과목)을 선택하기에 앞서 본인의 흥미와 특기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이에 맞는 목표를 정해야 본인에게 맞는 교육과정(과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지 못한다면 큰 범위에서 접근하고 선택하길 기대합니다.

<출처: 대입정보매거진 / 박문수(청원여고,대교협 파견교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